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열심히 일하지만 소득이 낮아 생활이 빠듯한 분들을 위해 정부에서 매년 지원하고 있는 복지 제도, 바로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입니다.

    2025년에는 이 두 제도에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어,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함께 살펴볼까요?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근로장려금이란?

   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낮은 근로자 또는 자영업자 가구에게 현금을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. 단순히 돈을 주는 것이 아니라, 근로 의욕을 높이고 생활 안정을 돕는 중요한 복지 정책이에요.

    • 저소득 근로자의 소득 보전
    • 근로 의욕 고취 및 자립 지원
    • 빈곤 완화와 사회적 안전망 강화

    자녀장려금이란?

    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의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. 만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가구에게 자녀 1명당 일정 금액을 지원합니다.

    • 저소득 가구의 양육비 부담 완화
    • 출산율 제고 및 가족 복지 강화

    2025년 주요 변경 사항

    • 지원 금액 인상
      • 근로장려금: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액 평균 5% 인상
      • 자녀장려금: 자녀 1인당 최대 80만 원 → 90만 원 상향
    • 소득 기준 완화
      • 맞벌이 가구 기준 완화 → 더 많은 가구가 지원 가능
      • 단독·홑벌이 가구도 기준 소폭 완화
    • 신청 절차 간소화
      • 모바일 앱·홈택스를 통한 간편 신청 확대
      • 자동 알림 서비스로 사전 안내 강화
    • 지급 시기 유연화
      • 정기 신청 외에 반기별 지급 유지

    지원 대상 요건

    근로장려금

    • 소득 요건
      • 단독가구: 연 소득 2,200만 원 이하
      • 홑벌이 가구: 연 소득 3,200만 원 이하
      • 맞벌이 가구: 연 소득 3,800만 원 이하
    • 재산 요건: 가구 재산 2억 원 미만 (1억 4천만 원 초과 시 일부 감액)

    자녀장려금

    • 소득 요건: 근로장려금과 동일
    • 재산 요건: 2억 원 미만
    • 자녀 요건: 만 18세 미만 자녀 (2007년 이후 출생) 부양 중

    지급 금액 요약

    구분 최대 금액
    단독가구 165만 원
    홑벌이 가구 285만 원
    맞벌이 가구 330만 원
    자녀장려금 (1인당) 90만 원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년에는 더 많은 가구가 근로·자녀장려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었습니다. 해당 요건을 잘 확인하시고, 꼭 신청해서 혜택 누리시길 바랍니다!

    👉 놓치지 말고 챙기세요!

    반응형